프로그래밍/Spring

< ddl-auto > 사용시 주의사항

Reese 2022. 1. 4. 15:55

스프링부트 강의를 듣다가 ddl-auto가 좀 무시무시한 기능같아서 좀 찾아봤다.

 

일단 강의에서는 ddl-auto:create 를 사용하였다.

create는 기존에 있던 테이블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한다.

이 옵션은 개발 초기 단계에서만 사용해야한다.

안그러면 내가 만들고 수집한 모든 테이블이 전부 삭제되고 새로 만들어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조심하자!!!

 

jpa:
    open-in-view: true
    hibernate:
      ddl-auto: create
      naming:
        physical-strategy: org.hibernate.boot.model.naming.PhysicalNamingStrategyStandardImpl
      use-new-id-generator-mappings: false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format_sql: true

 

ddl-auto 옵션 종류


create : 서버 시작마다 기존 테이블 삭제 후 다시 생성

create-drop : create와 같으나 종류시점에서 테이블 drop

update : 수정사항만 DB에 반영

vaildate : entity와 table이 정상 매핑되었는지만 확인

none : DB에 반영하지 않음. (사실상 없는 값)

 

 

 

 

 

나머지 코드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추가하도록 하것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