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일챌린지 7

[네트워크] IPv4, ICMP, 프로토콜 (2)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네트워크란?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통신망의 하나이다.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들은 노드 간 연결을 사용하여 서로에게 데이터를 교환한다. *노드 :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 또는 통신 장비를 뜻하는 말 인터넷이란? 문서, 그림 영상과 같은 여러가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세상에서 가장 큰 전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흔히 www를 인터넷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www는 인터넷을 통해 웹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 네트워크의 분류 크기에 따른 분류 LAN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WAN 멀리 있는 지역으 한데 묶은 네트워크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다시 하나로 묶은 것 네트..

Study/CS 2022.10.01

[네트워크] IPv4, ICMP, 프로토콜 (1)

IPv4 프로토콜 IPv4가 하는 일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된다.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 IPv4 프로토콜의 구조 다른 네트워크의 특정 대상을 찾는다. ICMP 프로토콜 ICMP 프로토콜의 구조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세지를 전송 받는 데 주로 쓰인다. 프로토콜 구조의 Type과 Code를 통해 오류 메세지를 전송 받는다 특정 대상과 내가 통신이 잘 되는지..

Study/CS 2022.09.30

[네트워크] ARP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 ARP가 하는 일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하여 알아오는 프로토콜이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주소가 모두 필요하다 이 때, IP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다. ARP 프로토콜의 구조 ARP 프로토콜 한 줄이 4byte, 7줄 → 총 28byte Hardware type - 16진수로 0001 값이 온다. (Ethernet의 고유한 값) Protocol type - IPv4 프로토콜 타입인 0800 값이 온다. Hardware Address Length -하드웨어 주소의 길이 = 6byte = ..

Study/CS 2022.09.29

[네트워크] IP주소 (2)

일반적인 IP 주소 사설 IP와 공인IP 공인IP 1개당 2^23개의 사설 IP 공인IP -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통신할때 사용 사설IP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사용하는 IP주소 실제 인터넷 세상에서는 공인IP로만 통신 외부 네트워크 대역에서는 사설IP 대역이 보이지 않는다. 0.0.0.0/0 wildcard 나머지 모든 IP 127.0.0.1 나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어딘가로 가려면 일단 게이트웨이로 가야함 //따라하면서 배우는 IT 강의 참고

Study/CS 2022.09.28

[네트워크] IP주소 (1)

3계층의 기능 3계층에서 하는 일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발신에서 착식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 3계층에서 쓰는 주소 IP주소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 1개의 필드를 1byte만 사용 4개로 구분 → 총 4byte 10진수로 표현 (0~255까지만 쓸 수 있음) 일반적인 IP주소 Classful IP 주소 낭비가 심하다. 초창기에 사용해서 굳~이 알 필요는 없음. (알면 좋긴하지만..) Classless IP 주소 낭비되지 않도록 아껴쓴다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구분 *서브넷 마스크란? classful한 네트워크 대역을 나눠주는데 사용하는 값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고 어디서부터 호스트를 구분..

Study/CS 2022.09.27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2계층에서 하는 일 2계층의 네트워크 크기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물리적인 주소 MAC주소 -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 2계층의 프로토콜 Ethernet 프로토콜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 //따라하면서 배우는 IT 강의 참고

Study/CS 2022.09.26

[네트워크] 네트워크 모델

네트워크 계층 모델 TCP/IP 모델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통신 규약(프로토콜)의 모음 OSI 7계층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 놓은 것 OSI 7계층 모델 OSI 7계층 모델의 계층별 프로토콜 두 모델 비교 TCP/IP 모델 | OSI 7계층 공통점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 계층간 역할 정의 차이점 계층의 수 차이 OSI는 역할 기반, TCP/IP는 프로토콜 기반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 TCP/IP는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 패킷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 네트워크에서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

Study/CS 2022.09.25